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한국 아동문학 이론의 개척자` 사계 이재철 선생 타계 소식

아동문학가

by 순한 잎 2011. 7. 11. 13:01

본문

 


사계 이재철 선생께서, 오늘  2011년 7월 7일 오전 2시 17분에 타계하셨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장례식; 경희의료원 장례식장 101호 (1호선 회기역)

 

* 영결식; 2011년 7월 9일 오전 7시

 

* 장지; 경북 금릉군 송죽동 선영하

 

 

선생의 장례는 한국아동문학인협회장으로 치러집니다.

 

많은 아동문학가들의 조문을 기다립니다.

 

 

●선생님께서 살아오신 길●

 

1931년 경북 청도읍에서 河濱 이씨 27대손(고려 말 二憂堂 李瓊의 25대손), 3대 독자로 귀하게 태어나셨던 선생님.

 

 

 

지금으로부터 76 년 전 할머니 곁에 서 있는 똘망똘망한 저 작은 어린이의 눈동자 속에 훗날 한국 아동문학을 꽃피울 걸출한 인물이 숨어 있을 줄 누가 알았으랴.

 

어린 시절 부친의 서재에서 문학을 섭렵하고 시인이 되는 것을 꿈꾸셨던 선생님.

문학 청년으로 자라면서 1948년 중학교 때 ‘조선 문학가 동맹 청년 전위대 독서회 사건’으로 유치장 신세를 지기도 하기고, 625 전쟁을 5일 앞두고 문예부의 문학도들과 어울려 시집 ‘風船’을 출간하기도 하시고…….

 

 

 

   

 

이즈음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기 위해 청계 김사엽 박사의 호를 빌어 스스로 호를 '사계'라고 짓기도 하셨다. 아동문학은 민족의 거름이라는 사명감으로 선생님은 1963년부터 사재를 털어가며 아동문학 자료를 수집하고 본격적으로 아동 문학 연구에 매달리기 시작하셨다. 요즘이야 영인본이 잘 되어 있지만, 그 당시 교수 한 달 월급으로 최남선의 『소년』을 구입하기도 하고, 소파의 『어린이』를 구하기 위해 전국 헌책방을 수소문하고 다니셨다.

 

이렇게 아동 문학 관계 자료와 외국의 이론을 참고삼아 아동 문학 연구에 매달린 끝에 ‘아동 문학 개론’(1967) 한국현대아동문학사’(1978) 집필, 1982년 위암 선고를 받아놓은 채로 암과 투쟁하며 마침내 완성한 ‘세계아동문학사전’(1989)! 이 사전은 한국 아동문학을 세계 위에 조망해 보려는 그의 야심한 구상과 집념의 결정체였다.

 

 

 

 

 

 

 

 

 

한국 아동문학 연구에서 이 세권의 저서와 이재철이라는 이름 석자가 없었다면 어떠했을까? 오늘날 아동문학 연구자는 사계 선생님의 이 세 권의 저서 속에서 수많은 영감과 논문 주제를 얻고 있다.

 

소파 방정환 선생이 돌아가신 바로 그 해(1931년)에 태어났다고 하는 인연설을 중히 여겼던 선생님……. 고통스런 암투쟁과 의사로부터 연장 받은 3개월씩 생명 속에서 축대도, 상석도 없이 허술했던 소파 방정환 묘소를 오늘날과 같이 수축하고 비문을 세우셨다.

 

 

 

 

그리고 이제 한국 아동 문학도 우물 안 개구리가 되어선 안 되겠다 하는 생각으로 오사카 국제아동문학관에서 객원 교수를 지내고 , 그 이듬해 아시아 아동 문학 대회를 창설한 것은 이제 한국 아동문학을 세계로 끌고 나가려는 그의 첫 걸음이었다. 1990년 창설된 아시아 아동문학 대회는 이후 서울, 일본 큐슈, 중국 상해, 대만 대북시, 중국 대련, 일본 나고야……. 수많은 아시아의 도시들을 순회하며 이어져 왔다.

 

 

 

 

 

1997과 2006년에는 이를 세계대회로 격상시켜 세계 아동문학 연구자들을 서울로 불러들여 교류의 장을 여셨다. 그리고 이 대회를 개최하면서 세계의 수많은 아동문학가들이 소파 방정환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돌아갔다. 독일의 클라우스 도더러, 파리의 장 뻬로, 스웨덴의 마리아 니꼴라예바, 이스라엘의 조하르 샤벳……. 이들은 그들의 나라로 가서 한국의 아동문학을 소개하고 알려 주었다.

 

이 모든 결실의 마지막으로 선생님은 독일의 뮌헨과 일본의 오사카와 같은 규모의 국제아동문학관을 짓고, 자신이 소장한 한국 아동문학 자료 모두를 법인화 기관에 기증하여 후학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자료 보존의 터전을 만들고자 하셨다. 그리고 이 기관에 아동문화대학원을 병설하여 아동문학 연구의 전당을 갖추고 꽃을 피우고 싶어하셨다. 그러나 그의 원대한 구상과 높은 이상을 받아들이기에 현실은 구차하고 매우 협소했다.

 

제2차 세계대회가 끝난 뒤 영광을 누릴 여유도 없이 평생의 반려자인 아내를 잃으셨다.

 

 

 

 

단란한 한때를 그리워하며 혼자의 힘으로 하루 세끼를 해결하시며 홀로서기를 하시던 중 그만 한겨울 얼음판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부상으로 입으시면서 누우시게 되었다. 병석에 계시면서도 큰 일을 연거푸 하셨으니, 평생에 모아 오신 2만여 권 아동문학 자료를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기증하시고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를 설립하신 일, 몸소 36년간 끌어오셨던 계간 <아동문학평론>을 2대 발행인 송재진, 2대 주간 김용희 체제로 물려주신 일이다.

 

 아, 그가 한 일을 어찌 이 짧은 지면에 기록할 수 있으리.

 

 

 

 

 

 

 

오늘밤 새벽 갑자기 무서워짐에 선생의 근황이 어찌된 일일까, 노심초사 걱정이 되다가……. 혹시 꿈에라도 뵐까 하여 억지로 눈을 붙였던 것이 오늘 새벽인데. 그 시간에 임종하신 것을 아침에 일어나 문자로 확인하였다. 이미 마음으로 오래 준비해 온 일이지만 어찌 이렇게 눈물이 앞을 가리는 것일까? 그의 빈자리가 갑자기 커져버리는 것 같아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성큼성큰 선생을 추억할 몇 개의 일들을 추려 보면서, 이제 일어나 장례식장으로 향한다.

 

글쓴이 장성유 동화작가

 

출처 : 한국아동문학인협회
글쓴이 : 장성유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