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한국민요집/임동권 (자료)

순한 잎 2015. 8. 13. 10:26

민요 하나를 찾을 게 있어

원로 아동문학가 김종상 신현득 선생님께 자문을 구했더니

임동권 교수라는 분이 민요연구의 대가라고 알려주시면서

다음과 같은 책을 찾아보라고 알려주셨다.

해서, 당연히 도서관에 있을 줄 알고 자료를 찾았으나...

와, 고양시와 파주시 도서관 전체에 어째 이 분민요사에 대한 책이

한 권도 없는지...그저 놀라울 뿐~! 

절판된 것도 아니고 집문당에서 나온 책이 현재 판매되고 있던데.....어찌하여 없는가?

한국민요집은 1권~7권까지 나와있다. 

아무래도 아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찾아봐 달라고 해야할 것 같다.

나처럼 자료 찾을 분이 있을 것 같아 블로그에 소개한다.

 

 

임동권 교수의 <한국민요사> <한국민요집> 

 

 

 

한국민요사

한국민요집 1 

 

저자 소개

편저 : 임동권

1926년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국학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했지만, 지도교수의 권유로 민요연구를 시작했다. 문화재 전문 위원으로 활동하며 강강술래와 은산별신제, 강릉단오제를 중요무형문화재로 등재시키고, 1세대 민속학자로서 민속학을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데 평생을 기여하였다.
국학대학 교수, 이사장,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학장,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민속학회 회장, 중앙대학교 민속학 연구소장, 2010년~2012년 비교민속학회 고문,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한국민요학회, 한국민속학회 명예회장 등의 경력이 있다. 참교육자상(2009년), 은관문화훈장, 제16회 후쿠오카 아시아문화상 대상, 국민훈장 모란장, 5.16민족상, 화관문화훈장, 외솔상, 서울시 문화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 韓國民謠集 Ⅰ(1961), 人間의 歷史(譯書)(1963), 韓國民謠史(1964), 朝鮮の民俗(日文)(1969), 韓國의 風俗(共著)(1970), 韓國民俗學論攷(1971), 韓國의 傳統과 慣習(1982), 韓國民俗文化論(1983), 여성과 민요(1984), 韓國歲時風俗硏究(1985), 韓國民謠集 Ⅶ(1992), 한국의 馬 민속(1999) 외 다수가 있다

목차

Ⅰ. 민요편
가. 노동요
나. 신앙성요
다. 내방요
라. 정연요
마. 만가
바. 타령
사. 설화요

Ⅱ. 동요편
가. 동물요
나. 식물요
다. 연모요
라. 애무와 자장요
마. 정서요
바. 자연요
사. 풍소요
아. 어희요
자. 수요
차. 유희요
카. 기타의 동요

Ⅲ. 고대민요편
가. 삼국시대의 민요
나. 고려시대의 민요
다. 이조시대의 민요